JAVA&KOTLIN

· JAVA&KOTLIN
✨ 오늘은 내가 최근에 겪은 문제이고, 그것을 해결해서 포스팅을 끄적여본다... 내 주요 업무는 데이터 배치를 실행하고, 그걸 관리하고, 데이터를 수집하고 DB를 최적화하는 것이다.. (사실 1인 개발자는 다 해야 돼.) 근데 말이야, 최근에 S3 버킷에서 스트리밍으로 데이터 가져오는 게 자꾸 오류가 난다? 그것도 진짜 다양하게!SSL 인증 세션 만료 문제 🔒데이터 길이 안 맞을 때 예외 처리 못하는 문제 📏접속 불안정 문제 🌐이 세 가지 문제 때문에 정말 머리가 아팠다.. 예외 처리를 만들고 또 만들고, 계속해서 수정했지만... 문제는 끝없이 났고. 정말 절망적이었다. (무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계속 예외처리만 구성했다.) 최소 이만큼의 예외처리를 만들었고, 더 많은,,, 예외처리 과정이 있다...
· JAVA&KOTLIN
✨  우리 회사에서 주요한 일 중 하나는 정기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이다. 아직은 인원이 나 혼자! (온리 원!) 상태이기 때문에 반 자동 형태로 완전한 배치를 만드는 것이 목표인데, 저번에 웹 api를 통해서 데이터를 받아오고, 그것을 정제하는 과정을 만들게 되면서(이것도 기회가 되면 블로깅을 해야지) WebFlux 를 사용했다. 그런데 웬걸? 이걸 사용하니까 배치 프로세스 종료 후 자동으로 8080 포트가 닫히지 않는 것이다! 참고로, 원래 저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포트도 사용을 하지 않았다(...!) 그래서 WebFlux을 왜 사용하는지, 이걸 사용하고 나서 닫히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, 어떻게 하면 닫을 수 있는지까지 작성해보고자 한다    🪡 WebFlux ? ..
· JAVA&KOTLIN
✨ Spring batch를 만들던 중, 데이터 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 시간이 왔다. 한 6년 전에 국비 교육을 들은 개발자들이라면 알겠지만, 그때는 무조건 vo, service, controller, interface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왔기에 뇌가 없이 vo라고 만들다가, VO와 DTO의 차이를 조금 더 명확하게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. 네. 저 3년차 맞아요.  🪡 VO(Value Object) VO는 값을 나타내는 객체로, 도메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주로 도메인 모델의 일부로 사용된다. 🐣 특징불변성(Immutability) : VO는 생성 이후 내부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. 그렇기 때문에 안전하게 공유되고 캐싱될 수 있다.동등성(Equality) : 내부 값이 같..
· JAVA&KOTLIN
✨ 회사에 입사하고 제일 많이 하는 일, 그리고 내가 해야 하는 제일 중요한 일은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일이다. 스크립트를 이용해 aws 버킷에 있는 데이터들을 가공하고, 스프링 배치를 통해 실행한다. 이 과정을 처음 해보면서 bean과 jobScope의 개념을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느꼈다.  🪡 Bean자바가 객체 지향 언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. bean은 그것에서 좀 더 들어가서,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.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서 관리가 되기 때문에 객체를 사용하거나 불러올 때, new 를 이용해서 초기화나 삭제할 필요가 없고, 동일한 역할의 인스턴스를 사용할 경우에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곳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. 효율성이..
JEE-JEEE
'JAVA&KOTLIN' 카테고리의 글 목록